대한민국 공공디자인대상

  • 대상 소개
  • 전시

공공디자인의 문화적 역할과 인식을 넓히고, 모범이 되는 공공디자인 사례를 확산시켜 국민의 문화 향유권을 넓히겠다는 취지로 2008년 첫발을 뗀 《대한민국 공공디자인대상》이 올해로 18회를 맞았습니다.

이번 《2025 대한민국 공공디자인대상》은 ‘공존: 내일을 위한 공공디자인’을 주제로, 사회 변화에 대응하고 세대 간 조화와 공존을 지향하는 사업 및 연구에 주목하여 사업부문 11점, 연구부문 3점, 총 14점의 수상작을 선정합니다.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 국민들이 공감할 수 있는 공공디자인 사업과 연구 발굴을 통해 현재의 문제를 해결하고 미래를 더 풍요롭게 만들어 가고자 합니다.

2025 대한민국 공공디자인대상 시상식

  • 2025. 10. 24.(금) 15:00

  • 서울 성수동 코사이어티 C동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사업 부문 수상작(총 11점)

상격 분야 수상작 수상자

대통령상

공공 서비스

기술과 디자인으로 새로운 흡연 문화 만들기

서울 서초구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

공공캠페인

처음 입는 광복 캠페인

국가보훈부, 빙그레, 디마이너스원

공공캠페인

투명 OLED 기부 키오스크 자발적 나눔 문화 캠페인

네이버 해피빈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원장상

공공 시설물

기다림의 미학, 울산 스마트 버스 승강장 31109

울산광역시

공공 시설물

사계절 미끄럼방지 탄소발열매트 계단 조성

경기 성남시

공공 서비스

ACC 접근성 강화 주제전 《우리의 몸에는 타인이 깃든다》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외 13개 팀

시각이미지

온양온천 원도심 거리 범죄 예방 환경디자인 개발

충남 아산시, ㈜사비, 장훈종(선문대학교)

학회장상

공공공간 및 건축

모두를 위한 피크닉 풀 조성

서울특별시 디자인정책담당관, 스튜디오 엠엑스디

공공공간 및 건축

Bespoke Library, 기성재로 조립한 공공공간의 새로운 형태

광주광역시립무등도서관, 김선형(전남대학교)

공공 시설물

생활 안전을 더하는 공공디자인

경기 용인시, 엠씨크리에이티브

시각이미지

넛지 효과에 기반을 둔 안전 가이드라인 디자인

한국수력원자력㈜, ㈜에스이디자인그룹



연구 부문 수상작(총 3점)

상격 수상작 수상자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

공공장소에서 프라이버시와 사용자 경험을 고려한 디자인 가이드라인 구축에 관한 연구

조광민(한국과학기술원 산업디자인학과), 윤정균(코넬대학교 인간중심디자인학과), 정주영(한국기술교육대학교 디자인·건축공학부), 김차중(울산과학기술원 디자인학과)

빅터 마골린상*

AI를 활용한 미래 공공디자인 시나리오 연구

심윤선(인하대학교 디자인융합학과)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원장상

디자인 사고의 접근 방식을 통한 개발도상국 사회공헌

이하선(이화여자대학교 융합디자인연구소)

* 빅터 마골린상은 세계적인 디자인 석학 빅터 마골린(Victor Margolin, 1941–2019)이 한국 디자인 연구 발전을 위해 기부한 후원금을 바탕으로 제정되었으며, 공공디자인의 미래적 역할과 가치를 제시한 연구 논문에 수여됩니다.

▶ 공공디자인대상 지난 수상작 보기

2008년부터 매년 열린 《대한민국 공공디자인대상》의 2025년 수상작 11점과 역대 수상작 총 220여 점 중 《공공디자인 페스티벌 2025》의 주제인 ‘공존: 내일을 위한 공공디자인’의 메시지를 구현한 사업 부문 수상작 8점을 선별해 전시로 재구성했습니다.

전시는 세대 간 소통, 학교 환경 개선, 놀이 공간 조성, 교육·캠페인이라는 네 가지 축을 중심으로 펼쳐지며, 공공디자인이 사회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고 공동체의 일상을 얼마나 변화시켜 왔는지 되짚고, 그 미래 방향을 함께 모색합니다.

대한민국 공공디자인대상 역대 수상작 전시

  • 2025. 10. 24.(금) 17:00–19:00
    2025. 10. 25.(토)–10. 26.(일) 12:00–19:00

  • 서울 성수동 코사이어티 D동

[세대 간 소통]

노안남초 비바놀이터 프로젝트(2024)
건축사사무소 유어예
전라남도 나주시

광주양동초 학생중심 공간혁신(2023)
광주광역시교육청, 광주양동초등학교, 프로젝트파티(P_P.Y), 예림건축사사무소
광주광역시



[학교 환경 개선]

공근초등학교 공각 도서관(2022)
횡성공근초등학교, (주)이유에스플러스건축
강원도 횡성군

창원 대원초등학교 상상의 숲(2021)
대원초등학교, (주)건축사사무소 유니트유에이
경상남도 창원시



[놀이 공간 조성]

송정동 기적의 놀이터(2021)
경기도 광주시

학교 바닥놀이"(2016)
(주)놀공, C Program



[교육·캠페인]

모두의 드리블(2023)
디마이너스원, 하나금융그룹, 한국프로축구연맹
전국 18개 축구장

SAFE&SAVE 365 (2022)
제리백
서울특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