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디자인 토론회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이 주관하는 《2025 공공디자인 토론회》는 올해로 19회째를 맞이한 연례 행사입니다. 이번 토론회는 '내일을 위한 공공디자인'을 주제로 '공존:내일을 위한 공공디자인', '공감: 세대 간 소통하고 배려하는 포용적 환경', '참여: 공동체 참여로 실현하는 지역 활성화' 등 3개 세션으로 진행됩니다.

국내외 영향력 있는 연사의 초청 강연과 우수 사례 발표를 통해 공공디자인의 지향점을 모색하는 시간이 될 것입니다.

  • 내일을 위한 공공디자인

  • 2025.10.28.(화) 13:00 ~ 17:00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극장3 * 광주광역시 동구 문화전당로 38

  • 공공디자인 관련 기업·기관, 협·단체, 개인 누구나

  • 2025. 9. 22.(월) ~ 10. 24.(금)

  • 공공디자인 종합정보시스템을 통한 사전 등록 후 오프라인 참여
    * 선착순 모집으로 정원 충족 시 조기 마감될 수 있습니다.

    신청하기

토론회 타임테이블

  • 시간
    구분
    제목
    연사자/소속
  • 13:00 - 13:05
    개회
    개회사
    장동광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원장
  • 13:05 - 13:10
    축사
    환영사
    고광완
    광주광역시 행정부시장
  • 주제세션. 공존: 내일을 위한 공공디자인
    지속가능한 삶의 기반으로서 공공디자인의 사회적 역할과, 세대 간의 공존을 가능케 하는 공공디자인의 미래 방향 모색
  • 13:10 - 13:25
    기조발제
    내일을 위한 공공디자인
    김주연
    2025 공공디자인 페스티벌 조직위원장
  • 13:25 - 13:40
    주제발제
    Designing for Coexistence: Public Design as Democratic Infrastructure
    (공존을 위한 디자인: 민주적 인프라로서의 공공디자인)
    앤드류 나이트(Andrew Knight)
    영국 행정서비스 정책디자인 커뮤니티 총괄
  • 13:40 - 13:50
    주제발제
    꽃피는 기억 머무는 마음
    - 고령자 치매 예방을 위한 광명시 「인생정원」 이야기
    박종연
    광명시청 도시계획과 공공디자인팀 디자인전문관
  • 13:50 - 14:00
    주제발제
    자연과 함께하는 기후 위기 대응
    서창완
    국립생태원 기후생태연구실 실장
  • 14:00 - 14:10
    주제발제
    지혜와 꿈이 만나는 곳,
    「착한에너지학교」- 시니어 강사가 진행하는 어린이 환경 교육
    홍수영
    전북에너지서비스 매니저
  • 14:10 - 14:20
    휴식
  • 사례세션. 공감: 세대를 잇는 포용의 환경
    다양한 세대가 함께 공감하고 연결될 수 있는 포용적 공간과 공공서비스 디자인 사례 공유
  • 14:20 - 14:35
    주제발제
    Cultural festivals as instruments of public sector strategy
    (공공 부문 전략의 도구로서의 문화 축제)
    카리 코르크만(Kari Korkman)
    헬싱키 디자인 위크 설립자 겸 디렉터
  • 14:35 - 14:45
    사례발제
    ‘미래를 짓는 시민’을 기르는 건축학교
    - 건축을 통해 공공성을 상상하다
    최정원
    정림건축문화재단 건축학교 팀장
  • 14:45 - 14:55
    사례발제
    공공디자인으로 구현한 따뜻한 놀이 공간, 「mom편한 놀이터」
    김민경
    롯데지주 CSV팀 책임
  • 14:55 - 15:05
    사례발제
    안산 다문화마을특구 로컬 디자인 '다 같이 더 가치'
    정명옥
    안산시 단원구청 도로교통과 생활민원팀 팀장
    (전)안산시청 다문화마을특구지원팀 팀장
  • 15:05 - 15:15
    사례발제
    폐교를 살린 작은 브랜드의 매력
    최상희
    오월학교 대표
    비플러스엠 대표이사
  • 지역세션. 참여: 공동체가 만드는 지역의 내일
    지역협력도시와 연계를 통해 공공디자인의 실천적 가능성 및 협력 기반의 도시 활성화 전략 논의
    *지역협력도시 공동 기획
  • 15:15 - 15:30
    주제발제
    공공디자인으로 문화 도시 광주 조성
    김용모
    광주디자인진흥원 원장
  • 15:30 - 15:45
    사례발제
    Creating Sustainable Urban Spaces through Art and Collaboration
    (예술과 협력이 만드는 지속가능한 도시 공간)
    팀 톰킨스(Tim Tompkins)
    뉴욕대학교 매런/브루킹스 연구소 연구원
  • 15:45 - 15:55
    사례발제
    「광주폴리」와 비일상 도시 디자인
    천의영
    「광주폴리 III」 총감독
  • 15:55 - 16:05
    사례발제
    〈무등의 빛〉, 공동체와 미래를 잇는 공공디자인
    - 「광주폴리 IV」가 갖는 문화와 공공성
    이이남
    이이남스튜디오 작가
  • 16:05 - 16:15
    사례발제
    공공디자인의 실질적 가치를 위한 리빙랩의 효용성
    김봉국
    디자인씽커스 대표
  • 16:15 - 16:20
    장내정리
  • 종합토론. 미래 세대를 위한 공공디자인
    세대 간 조화와 공존을 위한 다양한 관점의 공공디자인 역할 모색
  • 16:20 - 16:50
    사례발제
    미래세대를 위한 공공디자인
    좌장: 정성구 UCL도시콘텐츠연구소
    패널: 구진욱 낫씽디자인 그룹 대표
    박종연 광명시청 도시계획과 공공디자인팀
    디자인전문관
    서창완 국립생태원 기후생태연구실 실장
    최정원 정림건축문화재단 건축학교 팀장

토론회 연사소개

  • 김주연

    2025 공공디자인 페스티벌 조직위원장

    내일을 위한 공공디자인

  • Anddrew Knight (앤드류 나이트)

    영국 행정서비스 정책디자인 커뮤니티 총괄

    Designing for Coexistence: Public Design as Democratic Infrastructure
    (공존을 위한 디자인: 민주적 인프라로서의 공공디자인)

  • 박종연

    광명시청 도시계획과 공공디자인팀 디자인전문관

    꽃피는 기억 머무는 마음
    - 고령자 치매 예방을 위한 광명시 「인생정원」 이야기

  • 서창완

    국립생태원 기후생태연구실 실장

    자연과 함께하는 기후 위기 대응

  • 홍수영

    전북에너지서비스 매니저

    지혜와 꿈이 만나는 곳,
    「착한에너지학교」- 시니어 강사가 진행하는 어린이 환경 교육

  • 카리 코르크만(Kari Korkman)

    헬싱키 디자인위크 대표

    Cultural festivals as instruments of public sector strategy
    (공공 부문 전략의 도구로서의 문화 축제)

  • 최정원

    정림건축문화재단 건축학교 팀장

    ‘미래를 짓는 시민’을 기르는 건축학교
    - 건축을 통해 공공성을 상상하다

  • 김민경

    롯데지주 CSV팀 책임

    공공디자인으로 구현한 따뜻한 놀이 공간, 「mom편한 놀이터」

  • 정명옥

    안산시 단원구청 도로교통과 생활민원 팀장
    (前 안산시청 다문화마을특구지원 팀장)

    안산 다문화마을특구 로컬 디자인 '다 같이 더 가치'

  • 최상희

    비플러스엠, 오월학교 대표

    폐교를 살린 작은 브랜드의 매력

  • 김용모

    광주디자인진흥원 원장

    공공디자인으로 문화 도시 광주 조성

  • Tim Tompkins(팀 톰킨스)

    뉴욕대학교 공공서비스대학 겸임교수

    Creating Sustainable Urban Spaces through Art and Collaboration
    (예술과 협력이 만드는 지속가능한 도시 공간)

  • 천의영

    「광주폴리 III」 총감독

    「광주폴리」와 비일상 도시 디자인

  • 이이남

    이이남스튜디오 작가

    〈무등의 빛〉, 공동체와 미래를 잇는 공공디자인
    - 「광주폴리 IV」가 갖는 문화와 공공성

  • 김봉국

    디자인씽커스 대표

    공공디자인의 실질적 가치를 위한 리빙랩의 효용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