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디자인 실험실

공공디자인 페스티벌 2025 x 공공디자인 실험실

공공디자인실험실은 일상 속에서 마주치는 문제를 공공디자인 관점으로 인식하고, 해결 방안을 직접 실험하는 프로그램입니다. 행사 기간 동안 공공디자인 아이디어를 테스트베드로 임시 설치하고, 주민들이 직접 참여해 실험 과정을 경험하며 그 효과성을 함께 검토합니다.
페스티벌 기간 동안 전국 6개 대학과 함께 다양한 주제로 공공디자인실험실이 운영됩니다.

[서울] 광운대학교: 온도주의 선언, 거꾸로 온도계 프로젝트

  • 적정 온도 준수를 위한 행동 유도(출입문 닫기, 온도 설정 등)로 에너지 절약 실천을 확산하는 넛지형 공공 캠페인

  • 공공소통연구소 LOUD

[서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우리 돌아갈 수 있을까?

  • 공공 우산(양산)을 비치해 회수율과 이동 경로 추적하며 환경의 회복과 공공 사물의 복귀 가능성 실험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자율디자인랩

[서울] 홍익대학교: 공공 스티커 ‘The Public Sticker’

  • 공공 장소의 안전, 가독성, 사회적 상호 작용을 목표로 모듈형 공공 정보 스티커를 설치해 행동 유도 효과 실험

  • 홍익대학교 공공디자인연구센터

[경기] 한경국립대학교: 다문화를 위한 공공디자인

  • 주한 미군 주둔 지역의 특성을 반영해, 외국인 거주자를 대상으로 상호 문화 존중과 교류를 위한 프로그램 운영

  • 한경국립대학교 제품공간디자인전공

[충남] 국립공주대학교: 도시 하숙 프로젝트

  • 하숙 문화에서 공유하던 의식주 행위를 재해석해 공공 가구 모듈을 제작하고, 시민 교류를 위한 커뮤니티 공간 조성

  • 국립공주대학교 리빙디자인센터

[울산] 유니스트: 미래신문-시민이 상상하는 공공의 미래

  • 기후 변화, 인구 구조 변화 등 사회 변화 속에서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개인의 역할을 고민하는 ‘미래 신문’ 제작

  • 유니스트 뉴디자인스튜디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