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디자인 실험실
공공디자인 페스티벌 2025 x 공공디자인 실험실
공공디자인실험실은 일상 속에서 마주치는 문제를 공공디자인 관점으로 인식하고, 해결 방안을 직접 실험하는 프로그램입니다. 행사 기간 동안 공공디자인 아이디어를 테스트베드로 임시 설치하고, 주민들이 직접 참여해 실험 과정을 경험하며 그 효과성을 함께 검토합니다.
페스티벌 기간 동안 전국 6개 대학과 함께 다양한 주제로 공공디자인실험실이 운영됩니다.
[서울] 광운대학교 공공소통연구소 LOUD: 온도주의 선언, 거꾸로 온도계 프로젝트
-
적정 온도 준수를 위한 행동 유도(출입문 닫기, 온도 설정 등)로 에너지 절약 실천을 확산하는 넛지형 공공캠페인
-
10. 24.(금)-11. 2.(일)
-
광운대학교(서울), 한국수력원자력 인재개발원(울산)
-
한국에너지공단
[서울] 홍익대학교 공공디자인연구센터: 공공 스티커 ‘The Public Sticker’
-
공공장소의 안전, 가독성, 사회적 상호 작용을 목표로 모듈형 공공정보 스티커를 설치해 행동 유도 효과 실험
-
10. 24.(금)-11. 2.(일)
-
수서역 SRT
[서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자율디자인랩: 우리 돌아갈 수 있을까?
-
공공우산(양산)을 비치해 회수율과 이동 경로 추적하며 환경의 회복과 공공 사물의 복귀 가능성 실험
-
11. 1.(토)-11. 2.(일) 13:00-15:00
-
서울 마로니에 공원
[경기] 한경국립대학교(제품공간디자인전공): 다문화를 위한 공공디자인
-
주한 미군 주둔 지역의 특성을 반영해, 외국인 거주자를 대상으로 상호 문화 존중과 교류를 위한 프로그램 운영
-
11. 19.(수)-11. 25.(화)
-
한경국립대학교, 평택지제역 SRT 역사 로비
[충남] 국립공주대학교 리빙디자인센터: 도시하숙 프로젝트
-
하숙 문화에서 공유하던 의식주 행위를 재해석해 공공가구 모듈을 제작하고, 시민 교류를 위한 커뮤니티 공간 조성
-
10. 31.(금)-11. 1.(토)
-
공주하숙마을 마당
[울산] 울산과학기술원 뉴디자인스튜디오: 탄소중립도시 울산을 위한 정책상상
-
울산의 빈 상가를 활용해 탄소중립과 인구유출 문제에 대한 시민 참여형 공공 디자인 실험을 진행하며, 포용적 도시 재생의 가능성을 탐색
-
워크숍 10. 25.(토) / 10. 31.(금) / 11. 1.(토) 15:00-16:50
※ 워크숍 사전 신청
전시 10. 25.(토)-11. 1.(토)
주중 13:00-19:30, 주말 13:00-21:00 -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중로 74번길 6, 1층
-
울산과학기술원 도시미래전략연구센터
전체 프로그램
공공디자인 실험실